본문 바로가기

study

(17)
자바 메모리구조에서 LinkedList 소스 실행 과정
[프로그래머스/자바]K번째 수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a..
[프로그래머스/자바] 가장 큰 수 [프로그래머스/자바] 가장 큰 수 문제 설명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예를 들어, 주어진 정수가 [6, 10, 2]라면 [6102, 6210, 1062, 1026, 2610, 2106]를 만들 수 있고, 이중 가장 큰 수는 6210입니다.0 또는 양의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순서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numbers의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numbers의 원소는 0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정답이 너무 클 수 있으니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numbersre..
Thread의 Process의 메모리 공유에 대한 문제점 (수정 중) 개요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같은 전역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전역함수를 사용해도 그 결과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다. 그렇다면 왜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같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을 까. 같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면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같은 개념으로 봐야 하는 가. 그렇지만 결과값이 다르다면 왜 다른 것인가. 스레드는 그리고 실행 때마다 그 값이 변화한다. 왜 그런 것일 까. 이런 문제점과 질문들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shell script를 통해 구현해볼 것이다. 그리고 출력한 결과값을 통해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장단점을 찾아본 뒤 스레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찾아볼 것이다. 그리고 찾은 것을 직접 shel..
물리 서버 내부 구조 서버 - 하드웨어 장비 및 데이터의 흐름 물리 서버 서버 외관과 설치 장소 서버는 랙(rack) 에 장착됨 랙에는 서버 외에도 HDD가 정착돼 있는 저장소나 인터넷 및 LAN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등도 탑재되어 있음 랙의 규격 대부분 랙의 폭은 19인치 높이는 한 눈금에 약 4.5cm로 40~46개 눈금으로 이루어져 있음 서버 높이의 단위 : 한 눈금당 1U(2U서버는 2눈금, 높이 약 9cm의 서버) 전원이나 네트워크 케이블 배선등은 모두 랙 뒷면에서 연결됨 서버 설치 시 중요한 정보 서버 크기(1U) 소비 전력(A) 중량(Kg) 서버 전면(Sun Server X3-2L 모델) 일반적인 서버는 옆으로 긴 형태 옆에 랙 마운트 레일(rack mount rail) 이 있어서 장롱 서랍처럼 설치 가능 전면..
인프라 아키텍처의 종류 인프라 아키텍처란?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집약형 아키텍처분할형 아키텍처 물리 서버와 논리 서버의 차이수직 분할형 아키텍처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 3계층형 아키텍처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단순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공유형 아키텍처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스탠바이형 아키텍처 재해 대책형 아키텍처 클라우드형 아키텍처인프라 아키텍처란?IT 인프라 - IT의 기반이 되는 것 인프라 아키텍처 - IT 인프라의 구조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집약형 아키텍처대형 컴퓨터 하나로 모든 업무를 처리하는 형태구성이 간단함 한 대의 컴퓨터로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장비 고장으로 업무가 중단이 되면 안됨한대의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다중화(예: CPU 2개)해서 단일 고장점 방지해 안정성이 높음유한 리소스 관리를 통해 서로 다른 ..
t-test 정규모집단의 평균추론구간 추정을 할때는 모집이 정규분포를 따르거나 표본이 크고 모분산을 알고 있을 때 할 수 있다. 모분산을 모르거나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고 표본의 수가 충분히 크지 않을 때는 어떻게 모수를 추론할 수 있을까? 평균의 표집분포의 추정모집표준편차에 대한 추정모집의 표준편차를 알 수 없을 때, 표본에서 계산 된 표준편차를 이용해 모집의 표준편차를 추정함모집표준편차의 추정값(표본의 표준편차)예)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의 표준편차는 30명의 표본표준편차인 5.99 이다 모집의 표준편차를 추정할 때 평균의 표집분포의 특성평균의 표집분포의 평균은 모집의 평균(μ)과 같음표집분포의 표준편차(표준오차)의 추정값은 표본평균을 표준화한 검정통계량은 표준정규분포와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는 t분포를 따름..
통계적 추론의 이해 통계적 추론 통계적 추론: 표본의 정보를 이용해 모집의 모수를 판단하는 것 표본의 통계량과 표집분포의 특성을 이용함 모수의 값에 대한 추정 (점추정) 모수의 신뢰구간에 대한 추정(구간추정) 모수에 대한 가설 검증(가설검증) 모집평균에 대한 점추정 모집평균에 대한 추정 표본에서 계산할 수 있는 통계량 중 모집평균을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통계량은? 표집분포의 특성 표본평균의 표집분포의 평균은 모집평균과 같음 모집 평균을 추정할 수 있는 수치는 표본의 평균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의 평균키는 30명의 표본 평균인 160.2cm 이다 모집평균 추정의 정확성(신뢰도) 표본평균은 새로운 표본마다 다른 값을 갖게 되며 모집평균의 정확한 추정값이 아님 모집평균 추정의 신뢰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평균의..